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 Volume 6(1); 2006 >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6;6(1):028-036.
여자대학생의 건강체력 요인, 골밀도, 혈청 지질지단백성분, 스트레스 호르몬들간의 상관관계
정재현1
숙명여자대학교1, 루이빌대학교2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Bone Mineral Density, Serum Lipidlipoprotein Profiles and Stress Hormone in College Females
Abstract
연구배경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들간의 건강체력 요인, 골밀도, 혈청 지질지단백성분, 스트레스 호르몬들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여자대학생들의 건강증진과 체력 향상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 법 :S여자대학교 대학생 31명을 무선추출하였고, 건강체력은 배근력, 윗몸일으키기, 앉아서 윗몸앞으로굽히기, 스텝테스트를 측정 하였고, 신체조성은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BIA)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골밀도는 자동골밀도 측정장비(OSTEOSYS, SONOST-2000)을 사용하여 BUM, SOS, BQI, T-Score, Z-Score, T-Ratio, Z-Ratio을 측정하였다. 채혈을 통하여 혈청 지질지단백성분의 총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 스트레스 호르몬의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코티졸, 성장 호르몬, 글루카곤, 인슐린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는 상관분석, 단순선형회귀분석, Durbin Watson 검정등이 사용되었다. 결 과 :여자대학생에 있어서 심폐지구력에 골밀도, 스트레스 호르몬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p<0.05)으로 나타났고, 근력에 골밀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p<0.05)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지방에 스트레스 호르몬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p<0.05)으로 나타났다. 결 론 :여자대학생의 심폐지구력이 높을수록 골밀도와 스트레스 호르몬의 농도가 높게 나타남으로써 유산소 운동이 골밀도와 스트레스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근력과 골밀도 역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체지방율과 스트레스 호르몬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6;6(1):28~36) 중심단어 : 건강체력, 골밀도, 혈청 지질지단백성분, 스트레스 호르몬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820   Fax: +82-2-3010-3815   E-mail: kshpdp@amc.seoul.kr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