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06.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Fitness, Biochemical Profiles and Lung Function for the Elderly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 Volume 4(4); 2004 >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4;4(4):256-262.
고령자에서 활동체력 수준과 생화학지표 및 폐기능과의 관계
김현수
서울산업대학교, 한국체육과학연구원1), 고려대학교2)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Fitness, Biochemical Profiles and Lung Function for the Elderly
Abstract
연구배경 :고령자의 활동체력수준과 의학적 건강 변인사이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고 자립생활을 하는 65세 이상의 고령자 295명을 대상으로 횡단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모든 대상자들에게 활동체력 측정과 의학검사 및 면접을 실시하였다. 활동체력은 악력, 하지 신근력 및 굴근력, 3분 보행, 244 cm 왕복 빠르게 걷기,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서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구부리기, 눈뜨고 한발서기, 전신반응, 무릎대고 팔굽혀펴기를 측정하였다. 의학적 검사 항목으로 최고/최저혈압(SBP/DBP), 혈색소 수치(Hb), 적혈구수(RBC), 노력성 폐활량(FVC)을 측정하고 생화학검사로 GPT,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및 혈당(BG)을 측정하였다. 결 과 :앉아 윗몸 앞으로 구부리기를 제외한 모든 활동체력과 Hb 및 FVC는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하지 굴근력과 신근력은 RBC(r=0.12, 0.17, P=0.001), Hb(r=0.40, 0.41, P=0.000), HDL (r=0.14, 0.14, P=0.022), SBP(r=0.12, 0.12, P=0.042)와, 체지방율은 Hb(r=-0.15, P=0.000), HDLC(r=-0.15, P=0.000), TC(r=0.20, P=0.029), TG(r=0.13, P=0.000)와 유의한 사망률 보였다. 그리고 측정한 모든 활동체력 항목이 FVC와 유의한 상관(r=-0.44-0.55, P<0.01)을 보였다. 이밖에도 의자 앉았다 일어서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활동체력항목이 RBC와 유의한 상관(r=0.14~0.37)을 보였다. 결 론 :활동체력항목 중에서 근기능 특히 하지근력이 전신지구성보다 혈압 및 생화학적 요인과 상관관계가 높고, 노력성 폐활량과 정비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에서 근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활동체력 뿐만 아니라 폐기능과 심장질환의 위험요인인 생화학적 인자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4;4:256~262) 중심단어 : 고령자, 활동체력, 의학적 검사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820   Fax: +82-2-3010-3815   E-mail: kshpdp@amc.seoul.kr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