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 Volume 7(2); 2007 >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7;7(2):113-122.
남성 근로자의 고혈압 유무에 따른 비타민 및 무기질 섭취 상태 비교
김연정1
방사선보건연구원1,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외과학교실2,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3, 국립암센타4
Comparison of Vitamins and Minerals Intakes Between the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Workers
Abstract
연구배경 :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인 사업장 근로자들의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량을 정상혈압인 근로자의 섭취량과 비교 조사하여 근로자의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두 곳의 발전소에서 임의 추출한 발전소 근로자 4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장과 체중, 혈압을 측정하고 식품섭취빈도조사를 실시하여 자료가 완전한 338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대상자를 제7차 미국합동조사위원회의 고혈압 분류기준으로 정상군, 경계 고혈압군, 고혈압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 간 신체계측 결과, 비타민 및 무기질의 섭취 상태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신체계측 결과에서 체중과 체질량지수, 혈압은 고혈압군이 다른 두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비타민 및 무기질 섭취상태의 경우 비타민 B1과 나이아신, 비타민 B12, 나트륨, 철분은 경계 고혈압군 > 정상군 > 고혈압군 순으로 섭취가 유의하게많았다(p<0.05). 한국인 영양섭취기준(KDRIs)에 따른 각 군 별 섭취 비율은 비타민 A, 비타민 K, 비타민 B12, 나트륨, 철분에서 세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75% 미만 섭취 및 125% 이상 섭취자의 비율에서 비타민B2, 비타민 B12는 세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경계 고혈압군이 다른 두 군보다 섭취 불량자의 비율이 많았다. 인과 나트륨은 세 군 모두 125% 이상 섭취자 비율이 90% 이상이었으며 고혈압군의 나트륨 평균 섭취는 다른 두 군보다 적었지만 모든 대상자가 125% 이상으로 과잉 섭취하고 있었다. 영양밀도지수(INQ)의 분석 결과 비타민 E, 비타민 B2의 영양밀도지수가 1보다 낮아 에너지에 비해 영양 섭취가 불량하였으며 나트륨의 영양밀도지수만이 경계 고혈압군 > 정상군 > 고혈압군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본 연구결과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비타민 B12, 비타민 E, 나트륨, 철분의 섭취에서 세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계 고혈압군은 섭취 불량자의 비율이 다른 두 군보다 높았고 나트륨 섭취도 세 군 중 가장 높았다. 중심단어 고혈압, 비타민, 무기질, 영양소 섭취량, 영양밀도지수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820   Fax: +82-2-3010-3815   E-mail: kshpdp@amc.seoul.kr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