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 Volume 7(1); 2007 >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7;7(1):024-031.
원저 :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 대체요법 여부에 따른 폐경과 노화에 대한 태도, 사회관계망 및 삶의 질 비교
최정순
서울보훈병원, 경희대 간호과학대학1
Comparison of the attitude towards menopause and aging, social network an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HRT and Non-HRT in menopausal women
Abstract
연구배경 : 최근 들어 폐경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인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호르몬 대체요법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폐경기 여성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폐경기와 관련된 신체 및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인 역할 면에서의 치료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페경 전후의 비교연구로 호르몬대체요법을 받는 여성과 받지 않는 여성 에 대한 비교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기 여성을 위한 호르몬 대체요법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폐경과 노화에 대한 태도와 사회관계망 기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지를 확인하여 페경기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05년 7월~2005년 10월까지 서울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1개 종합병원에서 45세~59세의 폐경후기 여성 중 호르몬대체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을 받고 있는 119명과 호르몬대체요법을 받지 않는 호르몬비대체요법(Non-HRT)군 109명으로부터 삶의 질, 폐경과 노화에 대한 태도 그리고 사회관계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군 간의 동질성검정은 x²-test, 폐경과 노화에 대한 태도, 사회관계망 및 삶의 질에 대한 비교는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 과 : HRT군은 Non-HRT군보다, 폐경(F=31.14, p=< 0.01)과 노화(F=138.93, p < 0.001)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폐경기 여성의 사회관계망 지지는 HRT군이 Non-HRT군(F=125.02, p < 0.001)보다 더 높게, 사회관계망 간의 갈등(F=742.50, p < 0.001)은 더 낮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삶의 질(F=265.09, p < 0.001)도 더 높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폐경기 여성을 위한 호르몬대체요법(HRT)군이 호르몬비대체요법(Non-HRT)군보다 폐경과 노화에 대한태도, 사회관계망 기능 및 삶의 질에서 더 긍정적임이 확인되었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7;7(1):24~31) 중심단어 폐경, 노화, 사회관계망, 삶의 질
TOOLS
METRICS Graph View
  • 54 View
  • 0 Download
Related article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820   Fax: +82-2-3010-3815   E-mail: kshpdp@amc.seoul.kr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