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 Volume 5(4); 2005 >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5;5(4):308-314.
저항운동의 호흡형태가 혈압 및 Double Product에 미치는 영향
최희남1
서강대학교1,고려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2
The Response of Blood Pressure and Double Product After Acute Resistance Exercise on Various Breathing Methods
Abstract
연구배경 :저항운동 중 혈압은 안정시 수준보다 증가하여 높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듯 저항운동은 Valsalva maneuver 현상으로 인해 혈압의 급격한 상승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압의 급격한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호흡법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심박수와 수축기 혈압의 곱으로 나타내는 Double Procuct(이하 DP)는 운동 중 심근의 산소소비량을 결정하는 간접적인 지표로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저항운동의 호흡 형태에 따른 운동직후 혈압의 반응과 DP를 조사하여 적절하지 못한 호흡방법이 혈압과 DP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남성 16명(연령=21.57±2.63세, 신장=174.16±3.82cm, 체중=69.65±10.15kg)을 대상으로, 1RM의 80%의 강도로 bench press 10회, 3set를 실시 후 호흡방법에 따른 혈압 및 DP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호흡 방법은 1회 반복당 1회 호흡(A), 3-4회 반복당 1회 호흡(B), 1set 당 1회 호흡(C)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하여 SPSS 통계프로그램(version 10.0)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호흡형태에 따른 혈압과 심박수, DP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시점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며, 제 변인 및 각 시점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반복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수행하였다. 시점 간 유의한 차이는 일원반복분산분석을 하였으며, 구체적인 검증을 위하여 SNK검증법을 사용하였다.모든 자료에 대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α= .05로 설정하였다. 결 과 :수축기 혈압과 DP는 급성 저항운동 직후 각각의 호흡방법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회복기 30분후에는 안정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호흡방법에 따른 수축기혈압과 DP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호흡형태에 따른 혈압, 심박수 및 DP의 반응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저항운동 직후 안정시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는 젊은 성인들에게 있어 호흡 방법보다는 저항운동 자체가 혈압상승의 요인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건강한 젊은 성인에게 있어 호흡형태가 혈압과 DP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노화에 따라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중량을 들어 올릴 때 숨을 내쉬고 중량을 내릴 때 숨을 들이마시는 형태의 호흡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5;4:308~314) 중심단어 : 저항운동, 호흡방법, 혈압, Double product, Valsalva Maneuver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820   Fax: +82-2-3010-3815   E-mail: kshpdp@amc.seoul.kr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