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 Volume 4(3); 2004 >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4;4(3):162-170.
저항운동강도가 스트레스 호르몬과 젖산 반응에 미치는 영향
유재현
고려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서강대학교1)
The Responses of Catecholamine and Lactate on Resistance Exercise of Various Intensities
Abstract
연구배경 :저항운동 후 호르몬의 반응은 회복기 동안에 에너지 기질의 대사조절과 조직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저항운동에 의한 내분비계의 반응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카테콜라민의 반응은 저항운동에 의해 첫 번째로 작용하는 내분비기전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저항운동의 적절한 중재를 위해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저항운동의 총 운동량과 set 간 휴식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저항운동 강도에 따른 스트레스호르몬과 젖산의 농도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남성 9명(연령: 25.4±3.56세, 신장: 175.6±4.46cm, 체중: 71.6±8.97kg)을 대상으로, 총 운동량을 약 39,000J, set 간 휴식시간을 1분으로 설정한 후 저항운동 강도에 따른 카테콜라민과 젖산의 농도변화를 파악하였다. 저항운동은 TechnoGym社의 weight machine 6종(Knee Extension Machine, Knee Flexion Machine, Abdominal Machine, Back Extension Machine, Chest Press, Lat Pull Down)을 사용하여 1 RM의 40%에서 20회 반복, 60%에서 13회 반복, 80%에서 10회 반복하였으며 모두 3 set의 서킷트레이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하여 SPSS 통계프로그램(version 10.0)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저항운동 강도에 따른 혈중 카테콜라민과 젖산 수준은 안정시, 저항운동 직후, 회복기 30분 등 시간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저항 운동 강도에 따른 안정시, 저항운동 직후, 회복기 30분의 혈중 호르몬농도의 평균치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two-way repeated ANOVA를 하였고, 구체적인 검증을 위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유의한 차이에 대해서는 사후 비교방법으로 Tukey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에 대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α= .05로 설정하였다. 결 과 :혈중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저항운동 직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운동강도에 따라 에피네프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노르에피네프린은 운동 직후에서 운동강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중 젖산은 저항운동 직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운동강도에 따라서는 운동직후와 회복기 동안에 강도가 높을수록 혈중 젖산 농도도 높았으며, 저강도와 고강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약 39,000J의 운동량으로 실시한 저항운동은 운동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말초혈관의 수축 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과 피로물질인 젖산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노르에피네프린의 반응은 운동 중 혈압을 과도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valsalva maneuver의 원인중 하나로 보여진다. 따라서 저강도의 저항운동이 운동 중 혈압의 과도한 상승을 줄이고 근육의 피로를 최소화하는 등 안전성을 제공하면서 저항운동의 목적인 근력강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4;3:162~170) 중심단어 : 저항운동, 운동강도, 스트레스호르몬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820   Fax: +82-2-3010-3815   E-mail: kshpdp@amc.seoul.kr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