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 Volume 5(1); 2005 >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5;5(1):037-044.
위암 조직에서 p53과 K-ras유전자 돌연변이와 Helicobacter pylori감염과 IL-1B유전자 다형성 사이의 관련성 연구
윤효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내과학교실, 예방의학교실,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Interactions between mutations of p53 and K-ras genes in stomach cancer tissues,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IL -1B polymorphism
Abstract
연구배경 : Helicobacter pylori감염은 우리나라의 암 중 가장 많은 위암의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interleukin-1 유전자 다형성이 H. pylori의 위암 발생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H. pylori는 산화적 손상을 통하여 유전자 돌연변이를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표는, 흡연, IL-1B유전자 다형성, H. pylori감염이 위암 발생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흡연, IL-1B유전자 다형성, 위암 조직의 p53과 K-ras유전자 돌연변이 등과 H. pylori감염 여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 법 : 위암 환자 110명과 대조군 220명에 대하여 흡연력과 IL-1B-511 유전자형, 그리고, 항-H. pylori IgG 항체 존재 여부등을 검사하였다. 아울러 환자군의 위암 조직에서 DNA를 추출하고, p53과 K-ras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돌연변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흡연력과 IL-1B 유전자 다형성, 그리고 H. pylori감염력, p53과 K-ras유전자 돌연변이 등 사이의 관련성 여부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결 과 : 환자군의 흡연율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누적흡연량은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H. pylori에 대한 IgG 항체 양성률과 IL-1B유전자 다형성 분포에서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에서, 흡연습관과 IL-1B 유전자 다형성이 H. pylori 항체 존재여부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환자군에 대하여 흡연습관, H.pylori에 대한 IgG 항체 존재여부, IL-1B유전자 다형성 등과, 위암조직의 p53과 K-ras 유전자 돌연변이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검사하였으나, 이 중 어느 것도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 흡연은 위암 발생의 위험도를 높이지만, IL-1B유전자 다형성과 H. pylori감염력은 위암 위험도를 뚜렷하게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흡연이나 IL-1B-511 C 대립유전자가 H. pylori감염 가능성을 높이지 않으며, H. pylori가 위 조직의 p53이나 K-ras유전자 돌연변이를 유발함으로써 위암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많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로는 CagA(+) H. pylori감염이 IL-1B유전자 다형성이나 암 조직의 p53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중심단어 : 위암, 흡연, Helicobacter pylori, IL-1B, p53, K-ra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820   Fax: +82-2-3010-3815   E-mail: kshpdp@amc.seoul.kr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