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 Volume 4(4); 2004 >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4;4(4):233-240.
유아의 철분 영양 상태 및 철분결핍과 관련된 식이요인 분석
이지윤
성신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1)
Analysis of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Iron Deficiency in Preschool Children
Abstract
연구배경 :유아기의 철 결핍성 빈혈은 가장 흔한 영양결핍이지만 유아기 섭식패턴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 아동을 대상으로 철분 영양상태를 조사하고 철분 결핍과 관련된 식이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유아들의 영양상태 개선 및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 법 :인천 일부지역 유치원에 다니는 만 3~6세의 유아 128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과 24시간 회상법으로 식이섭취를 조사하였고, 정맥혈을 채취하여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치, 혈청 페리틴과 철 및 트랜스페린 포화도를 측정하여 철분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 또한 철분 결핍과 관련된 식이요인을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교차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자의 철분 영양지표는 평균적으로는 철분 결핍 기준보다 높았으나 혈청 페리틴(10 ng/㎖미만)과 트랜스페린 포화도(12% 미만)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대상자 중 18%에 해당하는 23명의 유아는 철분 결핍이었다. 단변량 분석시 철분결핍은 비타민 B6 혹은 비타민 C의 섭취량이 낮을수록, 과일류와 채소류의 섭취빈도가 낮을수록 발생률이 높았으며 연령, 설병, 수유방법을 보정하여 다변량 분석을 했을 경우 채소류의 주 4회 미만 섭취에 대한 주 4회 이상 섭취시 교차비가 0.267이었다. 결 론 :철분 결핍으로 평가된 유아들에게 주 4회 이상 채소류를 섭취하도록 한다면 비타민 C의 섭취가 증가되어 철 흡수가 증진되고 철 결핍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4;4:233~240) 중심단어 : 철분 영양, 철분결핍빈혈, 식이요인, 유아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820   Fax: +82-2-3010-3815   E-mail: kshpdp@amc.seoul.kr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