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ns 사용에 따른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의 혈중 농도 변화 |
임지향1 |
부산의료원 가정의학과1,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교실2 |
Change of Serum hsCRP Concentration after Statin Therapy in Dyslipidemic Patients |
|
Abstract |
연구배경: 스타틴계 약물 치료는 hsCRP와 같은 염증 지표를 유의하게 감소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스타틴계 약물 사용 기간과 혈중 hsCRP의 농도의 변화에 대한 장기간 연구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스타틴계 약물 치료에 따른 hsCRP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5월부터 2005년 5월까지 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를 방문하여 고지혈증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지 검토를 하였다. hsCRP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를 배제하고, 최종 156명의 연구 대상자들 중 식이 처방, 운동 요법 및 스타틴계 약물 치료를 한 군(스타틴 치료군)이 69명이었고 식이 처방과 운동 요법만 시행한 군(대조군)이 87명이었다. 대상자들은 고지혈증 진단 당시와 평균 40일 후, 180일 후, 360일 후의 3번의 추적 방문을 통해 hsCRP 농도와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였다. 고지혈증 진단 당시의 hsCRP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각 추적 방문 시 hsCRP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고, hsCRP 농도 변화와 총 콜레스테롤 농도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두 비교군 사이의 각 시기별 hsCRP와 총 콜레스테롤 변화량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스타틴 치료군에서 기저 loghsCRP 평균값은 평균 -1.115±0.509 mg/dL이었고 두 번째 추적방문(평균 180일 후)과 세 번째 추적방문(평균 360일 후)의 loghsCRP 평균값은 각각 -1.337±0.318 mg/dL, -1.359±0.383 mg/dL 로써 기저 loghsCRP 평균값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이러한 loghsCRP의 감소와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대조군에서는 각 시기별 loghsCRP 평균값의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각 시기별 loghsCRP 평균값은 스타틴 치료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장기간의 스타틴 약물치료는 총 콜레스테롤 감소와 무관하게 hsCRP 농도를 감소시켜, 심혈관 질환의 발생 감소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8;8(3):201~207) 중심단어: 스타틴, 고지혈증, hsCR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