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 Volume 7(3); 2007 >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7;7(3):205-212.
지역사회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에 의한 비만여성들의체구성, 혈중지질, 혈액응고변인 Factor-1 변화
이대택1)
국민대학교 김창규운동생리학실험실1), 강북구보건소2), 건국대학교3)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Blood Coagulation Factor-1 Changes by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 in Obese Women
Abstract
연구배경 : 지역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비만인의 체중, 체구성, 혈중지질상태의 변화가 혈액응고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방 법 : 최소한 지난 3개월 동안 건강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없는 신체질량지수 23.0 kg/m2 이상, 허리둘레 80 cm 이상, 또는 체지방률 25% 이상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였다(49.3±11.8 세, 158.2±4.7 cm, 72.9±13.3 kg, 28.9±5.3 kg/m2, 허리둘레 95.9±10.4 cm, 체지방률 37.3±5.1%). 연구는 총 14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사전검사, 12주 건강증진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 세 단위로 구성되었다. 참여대상자는 117명 이었으며 모든 연구과정을 마친 피험자는 54명 이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피험자들의 10시간 공복 후 혈액이 채취되었으며, 안정시 심박수와 혈압, 체구성, 신체특성이 측정되었다. 또한 스텝테스트를 통해 각 대상자의 심폐지구력을 측정하였다.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수, 적혈구용적, 헤모글로빈,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당 분석에 사용되었다. 또한 Factor-1(섬유소원)이 분석되었다. 건강증진프로그램은 참여 대상자들이 더 많은 신체활동에 참여하도록 도모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으며, 보행계수기를 통해 보행수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또한 보행계수기사용법, 올바른 걷기방법과 스트레칭 방법, 등산의 기술, 근력운동 방법, 맨손체조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결 과 : 12주간의 건강증진프로그램을 통해 체중(2.2±4.4 kg), 신체질량지수(0.7±1.0 kg/m2), 체지방율(0.62±1.6%), 평균동맥혈압(3.2±22.0 mmHg)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또한 혈액요인으로 적혈구용적(1.1±3.0), 헤모글로빈(0.4±1.0 g/dL), Factor-1 (34.8±71.5 mg/ml)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당뇨를 소유한 참여자의 경우 12주를 통해 변화한 총콜레스테롤 변화량과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변화량은 Factor-1 변화량과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 론 : 중년의 비만여성들이 지역사회에서 제공한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체중감소와 체구성의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또한 신체활동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혈액응고 반응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보였다.(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7;7(3):205~212) 중심단어 : 보행계수기, Factor-1, 중년여성
TOOLS
METRICS Graph View
  • 58 View
  • 0 Download
Related article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820   Fax: +82-2-3010-3815   E-mail: kshpdp@amc.seoul.kr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