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소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혈청지질, 자기효능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이 홍 자 |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for Body Composition, Serum Lipids,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Women |
|
Abstract |
연구배경 : 중년여성은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여 비만이 될 확률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남성보다 높다. 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 심계항진 등의 폐경에 따른 정서적 문제가 발생한다. 신체적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동은 매우 필요한 중재이다. 그러나 여성들은 가사일, 자녀양육 등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할 시간이 부족한 실정이다. 중년여성의 신체적 측면과 사회심리적 측면에 미치는 운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어서 유산소운동이 중년 여성의 신체구성 및 자기효능,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 설계 연구로서 H군에 거주하는 40세-65세 여성 21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설명을 듣고 동의서를 작성한 후 2004년 9월 16일부터 2004년 11월 15일까지 주 2회 8주 동안 유산소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운동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운동프로그램 전과 후에 변수를 측정하였다. 신체구성 및 혈액생화학적 변수로서 혈압, 체중, BMI(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당, TC(Total Cholesterol), TG(Triglyceride),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등을 측정하였고, 사회심리적 변수로서 자기효능 및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8.1세이고, 운동전 평균 체중은 59.9kg, 신장 155.3 cm, BMI 24.6, 허리둘레 83.5cm 이었다. 8주간의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허리둘레(t=-.015, p=.041), Triglyceride(t=2.00, p=.036)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운동습관(t=-5.30, p<.001), 운동에 대한 구체적 자기효능(t=.324, p=.040) 및 삶의 만족도(t=-2.00, p=.046)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체중, BMI, 혈압은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으며, HDL-C는 약간의 증가가 있었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 유산소운동은 허리둘레와 중성지질을 감소시켜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자기효능과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므로 중년여성에게는 폐경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신체적 정서적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7;7(3):196~204) 중심단어 : 중년여성, 유산소운동, 혈청지질, 자기효능, 삶의 만족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