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월경주기상태를 지닌 여자 운동선수들에서 급성운동이 혈중 산화스트레스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주미현1) |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1), 서강대학교2) |
Influence of Acute Exercise on Blood Oxidative Stress Markers in Female Athletes with the Different Menstrual Cycle Status |
|
Abstract |
연구배경 : 격렬한 신체활동은 인체내에서 자유라디칼과 활성산소종의 생산을 촉진시킬 가능성이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른 월경주기 상태를 지닌 젊은 여자 운동선수들에서 급성운동이 혈중 산화스트레스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 법 : 총16명의 여자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2개월간 기초 체온 측정과 배란 검사를 실시한뒤, 정상 월경군(EA, n=8)과 월경이상군(IMA, n=8)으로 분류하여,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이용한 급성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전·후에 채혈한 혈액샘플에서estradiol과 산화스트레스 지표인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SOD (total superoxide dismutase) 활성, CPK (creatine phosphokinase), glutathione 산화-환원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들(TGSH, GSSG, GSH, GSSG-TGSH ratio)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초경시작연령은 월경이상군에서 늦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estradiol 농도는 월경이상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TBARS는 정상월경군에서 급성운동 후에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SOD 활성은 정상월경군에서 급성운동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월경이상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CPK는 2군 모두 급성운동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Glutathione 산화-환원 상태는 급성운동후, GSSG가 정상월경군에서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월경이상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GSH는 정상월경군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GSSG/TGSH 비율은 정상월경군에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월경이상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다른 월경주기 상태를 지닌 젊은여자 운동선수들에서 급성운동이 혈중 산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월경이상군에서 산화스트레스가 클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앞으로는 월경이상을 지닌 여자운동선수들의 산화스트레스 예방에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7;7(3):180~186) 중심단어 : 월경주기, 급성운동, 산화스트레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