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과 중국 연변지역의 조선족에서 hOGG1과 L-myc 그리고 대사효소 등의 다형성과 흡연 및 음주가 폐암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
하정호1 |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1,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2,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3,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4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Genetic Factors, Smoking and Alcohol Intake on Lung Cancer in Koreans and Korean-Chinese |
|
Abstract |
연구배경 :폐암은 한국에서 두 번째로 흔한 암종으로 한국인과 중국 연변지역 조선족의 폐암 사망률이 다르다. 본 연구는 폐암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여섯 가지 유전자인 cytochrome P450 1A1(CYP1A1)과 cytochrome P450 2E1(CYP2E1), 그리고 glutathione S-transferase mu(GSTM1)와 theta(GSTT1), 8-hydroxyguanine glycosylase(hOGG1), L-myc protooncogene, 환경적 요인등이 한국인과 중국 거주 조선족의 폐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 법 :한국인 폐암환자 114명과 대조군 115명, 중국 거주 조선족 폐암환자 68명과 대조군 57명을 모집하여 환자-대조군 연구로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로 인적사항과 환경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정맥혈에서 DNA를 추출하여 CYP1A1과 CYP2E1 그리고 GSTM1, GSTT1, hOGG1, L-myc 유전자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 과 :한국인에서 GSTT1 유전자가 결손인 경우 폐암의 대응위험도가 3.1(1.8-5.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CYP1A1 유전자가 Val/Val 형인 경우 Ile/Ile 형에 비해 대응위험도가 0.14(0.05, 0.40)로 유의하게 낮았다. GSTT1과 CYP1A1은 다변량분석에서도 폐암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나머지 유전자형은 폐암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중국 거주 조선족에서 다변량분석결과 hOGG1과 L-myc 유전자가 폐암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 한국인과 조선족에서 폐암과 관련된 유전자 유형이 다른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은 한국인과 조선족 모두에서 유의하게 폐암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재확인되었다. 결 론 :이러한 결과는 유전적 요인이 동일하더라도 한국과 중국에서 폐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가 상이하여 강한 유전자-환경요인의 상호작용이 존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6;6(2):120~128) 중심단어 :폐암, 이민자 연구, CYP1A1, CYP2E1, GSTM1, GSTT1, hOGG1, L-myc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