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개 종합검진 남성 수진자에서 미세알부민뇨의 위험인자로서의 복부비만 |
김원술 |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 산업의학과 |
Abdominal Obesity and Microalbuminuria in Non-diabetic, Nonhypertensive Men |
|
Abstract |
연구배경 :미세알부민뇨는 고혈압, 당뇨병이 모두 없는 사람에서도 심혈관계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인식되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고혈압 및 당뇨가 없는 성인에서 미세알부민뇨의 관련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1월부터 8월까지 일개대학병원의 종합건강진단 수검자중 고혈압, 당뇨병, 신장질환 및 암의 병력이 없는 남자 1,286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공복혈당, 인슐린, 혈중 지질, 요산,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 백혈구, 혈압,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를 측정하였고, 미세알부민뇨는 알부민과 크레아티닌의 비를 구하여 30~300mg/g인 경우로 정의하고, 인슐린저항성의 지표는 HOMA-IR(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를 이용하였다. 각 변수들의 차이는 카이제곱검정 또는 t-검정을 하였으며, 혼란변수 보정을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유의수준은 0.05으로 하였고, 통계프로그램으로 SPSS 10.0을 사용하였다. 결 과 :대상자의 69.2%가 20~40대에 해당하였고, 대상자의 3.4%(42명)에서 미세알부민뇨가 관찰되었다. 미세알부민뇨의 유무에 따라 생활습관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미세알부민뇨군에서 백혈구수, 총 콜레스테롤 농도, 수축기혈압, 체질량지수, 허리둘레가 유의하게 높았고, 고감도 C반응성단백, 공복혈당, 공복인슐린, HOMA-IR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허리둘레에 대해서 는 미세알부민뇨군에서 82.9±7.5 cm, 정상군에서는 86.3±8.6 cm를 보였고(p=0.005), 복부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미세알부민뇨가 동반되는 승산비가 2.29(95% 신뢰구간; 1.22~4.64) 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수축기 혈압과 허리둘레는 미세알부민뇨의 독립변수였다. 결 론 :비당뇨, 비고혈압군에서 허리둘레는 미세알부민뇨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일 가능성이 있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6;6(2):114~119) 중심단어 : 미세알부민뇨, 알부민뇨, 허리둘레, 복부비만, 인슐린저항성,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