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점진적 근육이완이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 |
전성숙1 |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1, 서울대학교 간호대학2,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과3 |
Effect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using Biofeedback on Pain, Perceived Stress, Stress Responses, and Immune Responses among Osteoarthritis Patients |
|
Abstract |
연구배경 :본 연구는 40세 이상 성인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점진적 근육 이완훈련이 통증,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관절염 환자의 스트레스 감소 및 면역반응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안으로서 바이오피드백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 법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군 16명, 대조군 19명이었다. 중재는 5주간 총 10회로 구성된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점진적 이완훈련이며, 이완이 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선도 전문강사의 지도하에 훈련이 실시되었다. 종속변수는 통증,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반응 및 면역반응이었다. 중재전후 두집단에서 통증,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 (혈압과 맥박수, 근전도, 피부전도도, 피부표면온도), 면역반응(NK cell)의 변화에 대한 차이 검정은 사전값을 공변량으로 하는 공변량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 (α)는 0.05에서 양측검정하였다. 결 과 :통증, 지각된 스트레스,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맥박은 실험군의 경우 사전에 비해 사후에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오히려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었으며 두 군간의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근전도의 경우 실험군에서는 사후에 감소하고 대조군은 사후에 약간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피부전도도의 경우 두 군에서 모두 사후에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연살세포는 실험군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증가한 반면, 대조군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오히려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한편, 피부표면온도변화는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결 론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점진적 근육이완훈련후 관절염 환자에게 특히 문제가 되는 통증, 지각된 스트레스 감소가 유의하였으며, 스트레스에 의해 나타나는 반응인 혈압과 맥박, 그리고 근전도의 감소도 있었다. 또한 면역반응중 비교적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자연살세포의 경우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5주간의 비교적 단기간의 중재였음에도 불구하고 점진적 이완훈련은 대상자의 스트레스반응과 면역반응 향상에 효과가 있어 간호중재로 활용할 만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생애주기에 따라 여성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와 관련요인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니 지역사회나 직장에서 이루어지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각 생애주기별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5;3:223~231) 중심단어 : 바이오피드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