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 Volume 5(3); 2005 >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5;5(3):178-189.
자가기입식 신체활동 설문지 개발
신성현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Development of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the assessment of physical acitivity
Abstract
연구배경 :신체활동 참여가 건강에 대한 이점이 있다는 증거가 커져감에 따라 신체활동량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현재 신체활동량 평가를 위해 다양한 설문지를 사용하고 있지만 신뢰도와 타당도가 평가된 설문지가 없다. 이번 연구는 자가기입식 신체활동 설문지 3종(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short form 한글 번역판, 2004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Questionnaire-Adult Health Behaviors(NHISQ-AHB) 한글 번역판, 1일 신체활동 분포표(Daily Physical Activity Distribution Table, DPAD table))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2004년 9월부터 2005년 1월까지 고혈압, 당뇨병, 심장 질환, 폐질환의 과거 병력이 없는20~40세 성인 남자 자원자를 대상으로 운동부하검사(Graded exercise test)를 시행하여 Peak VO2 측정하였으며 세 종류의 자가기입식 신체활동 설문지를 이용하여 신체활동량을 조사하였다. 1주 후 동일 설문지를 반복 조사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신체활동량과 운동부하검사에서 측정한 Peak VO2의 상관계수를 구하여 설문지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신뢰도 평가를 위해 설문지의 문항 각각에 대해 1차조사 설문 응답과 2차 조사 설문 응답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세 가지 설문지 모두 신체활동량(Met-min/wk)과 운동부하검사로 측정한 Peak VO2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설문지의 타당성이 있었다(p<0.05). 신뢰도 조사를 위해 문항별로 구한 1차와 2차 설문조사 응답 사이의 상관계수가 NHISQ-AHB 한글 번역판과 IPAQ short form 한글 번역판에서 유의한 값을 보였다. 1일 신체활동 분포표의 경우 1차, 2차 응답이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못했다. 결 론 :이번 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한 3가지 자가기입식 설문지(IPAQ short form 한글 번역판, NHISQ-AHB 한글 번역판, 1일 신체활동 분포표)중 2가지(IPAQ short form 한글 번역판, NHISQ-AHB 한글 번역판)는 신체활동량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유용하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5;3:178~189) 중심단어 : 신체활동, 설문지, 신뢰도, 타당도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820   Fax: +82-2-3010-3815   E-mail: kshpdp@amc.seoul.kr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