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성인남자의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 분포 |
손지은 |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Distribu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Particle Size in Korean Adult Males |
|
Abstract |
연구배경 :저밀도 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은 다양한 크기, 밀도, 조성을 가지는 입자로 혈중에 분포하며 이중 small dense LDL은 저밀도 지단백 수용체 친화도가 낮고 proteoglycan 친화도가 높아 혈관 내벽을 잘 통과하며 산화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화학적 특징으로 인해 small dense LDL은 죽상경화를 잘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증가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저밀도 지단백 입자의 분포는 한국인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ipoPrint LDL System을 이용하여 93명(50.1±7.5 세)의 한국인 성인 남자의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방 법 :공복 후 채혈한 혈청 검체를 이용하여 LipoPrint LDL System(Quantimetrix Corp., Redondo Beach, CA, USA)으로 저밀도 지단백 아형(subclass; subfraction)을 분석하였고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에 따라 저밀도 지단백 표현형을 A형, I(intermediate)형, B형으로 분류하였다.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가 268 Å 보다 큰 경우 A형, 265 Å에서 268 Å 사이인 경우 I형, 265 Å 보다 작은 경우 B형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한국인 성인 남자의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265.1±4.7 Å이었으며 A형, I형, B형의 분포는 각각 30.1%, 30.1%, 39.8%이었다. 그리고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중성지방(Triglyceride; TG) 농도에 음의 상관관계(r=-0.667, P<0.001)를 보였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농도와는 양의 상관관계(r=0.479, P<0.001) 를 보였지만,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농도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한국인 성인 남자의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기존에 보고 되었던 서양인에 비해 작았고 A형을 제외한 아형의 비율은 70%로 서양인에 비해 높았다. 그리고 한국인에서 small dense LDL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한국인의 높은 중성지방 농도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4;4:38~44) 중심단어 : 저밀도 지단백, 아형,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 한국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