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의 운동요법 |
한신희 |
경인여자대학 간호과 |
Exercise for Patients with Cancer |
|
Abstract |
암의 발생 및 생존율의 증가로 인하여 암 환자들의 재활과 건강 증진에 대한 관심이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암환자들에게 재활 및 건강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권장되는 것은 운동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암 환자들에게 운동을 시행한 결과 암과 암 치료와 관련된 피로의 감소 및 예방, 신체 수행능력과 기능의 증가, 최대 산소섭취량 증가, 심박수 감소, 근력 증가, 체중, 체지방률의 변화, 신체 증상 및 부작용 감소, 혈액수치의 변화, 면역기능의 변화, 삶의 질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심리적인 우울과 불안의 감소 또한 입증되었다. 실제적으로 운동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일차적인 스크리닝을 통하여 암 환자의 개인적, 임상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요구되며, 운동의 이행에서는 유산소 운동으로 걷기나 자전거 타기를 주 3-5회, 1회 20-30분, 최대 맥박수의 60-85%의 운동 강도를 개인의 수행능력을 고려하여 처방된다. 운동은 가정 중심과 병원 중심의 두가지 접근으로 진행되었으며, 가정 중심의 운동은 편리성과 비용 효과성으로 대상자들이 선호하며 운동 진행 중 전화 상담이나 운동일지로 간접적인 감독을 병행하였다. 병원 중심의 운동은 입원 환자나 외래 환자를 중심으로 사전 운동 검사로 심폐기능이나 수행 능력을 확인한 후 중간 강도의 운동 강도로 목표 심박수를 설정하여 병원 내 운동실에서 트레드밀이나 에르고미터에서 걷기나 자전거 타기를 시행하였다. 운동 중 훈련된 테크니션에 의하여 직접적인 감독 및 심박수가 모니터링된다. 운동은 interval training pattern으로 독일의 F. Dimeo의 운동 프로토콜을 중심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으며 운동의 이행에서 운동의 시작은 물론 운동의 유지를 위한 전략으로 전화 상담, 운동일지, 운동 목표 설정, 강화 관리, 협상, 특별히 치료 중 의사의 운동상담 및 운동 프로토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4;4:1~9) 중심단어 : 암 환자, 운동요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