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 Volume 2(1); 2002 > Articl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2;2(1):001-018.
도시지역 중년 및 노인의 연령군별 영양위험 관련요인 연구
임경숙
수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ge Related Trends in Nutritional Risks for Middle-aged and Elderly in Korea
Abstract
연구배경 :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인구의 노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노인에 대한 건강증진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식생활과 관련된 만성 퇴행성 질환이 급증하면서 중년기 이후 성인에 대한 포괄적인 영양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중년층과 노인 계층을 대상으로 영양불량에 관여하는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 요인 및 식습관 요인의 연령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 법 : 2000년 10월 - 12월에 인구 30만명 이상의 도시 15개 지역에서 2660명(남 847명, 여 1813명)의 50세 이상 중년 및 노인을 대상으로 단면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내용으로 신체계측과 구조적 면접조사표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성별, 연령군별(중년: 50-64세, 노인: 65-74세, 고령노인: 75세 이상) 영양위험에 관련된 변인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중년이후 노년기가 되면서 남녀 모두 저체중군은 증가하는 반면 비만율은 감소하였다. 고령이 될수록 독거, 무배우자, 무직, 생계비 부족률이 증가하였고, 교육수준이 낮아졌으며, 정기적인 건강검진율이 낮아졌고, 투약, 틀니착용, 변비나 설사, 현기증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식욕이 감퇴하였고, 영양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았으며, 영양지식이 부족하였다. 결 론 : 노년기는 중년기에 비해 영양위험을 유발시킬 수 있는 사회경제적 특성이 증가하였고, 영양에 대한 인식 부족과 낮은 영양지식이 많이 관찰되었으며, 여러 영양위험요인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노령에 따라 변화하는 영양위험 관련 요인을 고려하여 영양정책의 우선 대상자를 선별하고, 이들을 위한 영양증진 정책을 개발하고, 영양개선사업을 시행함으로써 효율적인 노인건강증진을 도모함이 필요하다. 중심단어 : 중년, 노인, 영양위험지표, 사회경제적 요인
TOOLS
METRICS Graph View
  • 58 View
  • 0 Download
Related article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820   Fax: +82-2-3010-3815   E-mail: kshpdp@amc.seoul.kr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Developed in M2PI